양성평등주간을 말하다
(카드뉴스) 양성평등 주간을 말하다
등록일
2024-08-22
대상
주제
유형
조회수
39290
첨부파일

공공누리 공공 저작물 자유이용허락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매년 9월 1일부터 7일은 양성평등기본법 제38조에 따른 '양성평등주간'입니다.

 

양성평등주간은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인권선언문인 '여권통문'을 기념하는 '여권통문의 날(9월 1일)'을 함께 기념한다는 점에서 더욱 뜻깊은데요.

 

해외에서는 양성평등주간을 어떻게 보내고 있는지 카드뉴스를 통해 알아봅시다.

 

 

GENDER EQUALITY. 양성평등 주간을 말하다

 

우리는 양성평등 실현을 촉진하기 위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1년 중 1주간을 '양성평등주간'으로 제정했습니다. "양성평등기본법 제38조에 따라 매년 9월 1일부터 9월 7일까지를 양성평등주간으로 한다."

 

특히,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인권선언문인 여권통문(女權通文)을 기념하는 9월 1일 여권통문의 날과 함께 양성평등 문화확산에 기여하고 있다는 점에서 더욱 의미 있습니다. (여권통문: 1898년 9월 1일, 서울 북촌에서 발표된 여성의 근대적 권리인 교육권, 직업권, 참정권을 주장한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인권선언문) 양성평등주간이 처음 제정된 1995년에는 7월 1일~ 7월 7일을 기념주간으로 지정했으나, 여권통문의 날을 함께 기념하기 위해 2020년, 9월 1일~ 9월 7일 로 공식 변경. 사진 출처 여권동문. (2024년 6월 1일) 위키백과. 젠더온 검색창에 여권통문을 검색해보세요!

 

국가, 지방자치단체 및 공공단체 등은 양성평등주간을 기념하기 위한 여러 행사들을 진행합니다. 기념행사, 대중매체 등을 통한 홍보, 유공자 및 유공단체 포상, 양성평등주간기념 지역 행사, 토론회 및 포럼. 함께 일하고 함께 돌보는 양성평등 사회.

 

그렇다면 해외에서는 양성평등주간을 어떻게 기념하고 있을까요?

 

유럽연합 "European Gender Equality Week" 2020년, EU 전역에서 양성평등을 촉진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유럽 의회에 의해 제정. 주관 부처 : European Economic and Social Committee(EESC, 유럽 경제 사회 위원회). 일자 : 매년 10월 넷째 주. 메인 이벤트: 양성평등 지수 발표(EIGE, 유럽 양성평등 연구소): 지식, 경제, 건강, 일, 권력, 시간 등 6개의 범주에서 양성평등을 평가하며, 녹색 전환과 같은 특정 주제도 새롭게 다룸. 다양한 국가 및 지역 기구의 행사 개최, 대중 인식 캠페인 등. 의회 토론 및 워크숍: (EESC 산하 부서) 기후 위기, 양성평등, 금융 시장 접근성에 있어서의 성불평등, 농촌지역의 양성평등과 청년 등과 관련한 의제를 다루는 주제별 토론 진행. (유럽 의회) 여성의 노동력 참여, 정치적 대표성, 성폭력 방지 등 양성평등의 다양한 이슈를 다루는 토론, 워크숍, 패널 토론 등을 조직. 출처: European Parliament Multimedia Centre. (2023, October 24). Gender Equaity Week in the European.

 

일본 "Gender Equality Week' 2001년, 양성평등 사회를 위한 다양한 활동을 촉진하기 위해 "양성평등주간" 행사 개시. 주관 부처 : Gender Equality Bureau Cabinet Office (내각부 양성평등국) 일자 : 매년 6월 23일~6월 29일. 메인 이벤트: 양성평등 사회 형성을 위한 국가 회의. 양성평등 사회 형성 노력에 대한 총리 표창. "여성 도전상", "여성의 도전 지원상"등 시상. 금주의 슬로건 경연대회. 지방자치단체 행정 담당 공무원 및 지역사회활동 참여자 대상 교육·간담회 실시. 출처: 内 閣府 男女共同参画局(2024년 5월 17일). facebook.

 

캐나다 "Gender Equality Week" 2018년 6월 21일, 왕실의 승인을 받아 통과된 양성평등주간 법률로 인해 제정. 주관 부처 : Women and Gender Equality Canada(WAGE, 여성 및 양성평등부) 일자 : 매년 9월 넷째 주. 메인 이벤트: 소셜 미디어 캠페인: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서 #GenderEqualityWeek 해시태그를 사용해 양성평등에 관한 대화 촉진. 슬로건('23년) 양성평등을 위한 연대 : 함께 더 강해지다 (United for Gender Equality:Stronger Together) 디지털 도구 및 자료 제공: 소셜 미디어 시각 자료, 가상 회의 배경, 교육 자료 등 다양한 디지털 도구를 포함한 자료 키트 제공. 개인과 조직이 주간 행사에 참여하고 지역 사회 내에서 양성평등을 촉진할 수 있도록 지원. Gender-based Analysis(GBA*) Plus microlearning videos 성별 기반 분석 비디오 (성별 명향 평가 도구 中), 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는 학습 툴킷. 장관 성명문 발표: 여성 프로그램을 통해 양성평등을 가로막는 제도적 장벽을 해소하는 단체 지원. 젠더기반폭력(Gender-Based Violence) 예방 및 대처. 젠더기반폭력에 대한 연방전략 (Federal Strategy on GBA) 전데기반폭력 근절을 위한 국가행동계획(National Action Plan to End GBA) * GBA : 성인지 관점에서 정책 및 프로그램을 평가하고 개발하는 분석 도구. 이를 통해 조직은 성별에 따른 차별을 인식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음. 출처: - Gender Equality Week 2023 digital toolkit. Government of Canada. - Gender-based Analysis Plus microlearning videos. Government of Canada. - International Women Day's learning toolkit. Government of Canada.

 

많은 국가에서는 다양한 정책과 프로그램으로 '양성평등'의 가치를 확산하고 있습니다. OECD는 양성평등에 대한 각국의 노력이 국민의 삶에 크고 작은 영향을 미치며 특히, 기업 내 일자리 만족도를 높이고, 이직률을 낮추며, 조직원들의 생산성·혁신·의사결정 능력을 향상 시키는 데에 기여한다고 보고했습니다. 일자리 만족도, 생산성, 혁신, 의사결정 상승. 출처: - European Commission. (2020). Gender equality in research and innovation. - OECD. (2023). Gender equality.

 

세계 각국에서 양성평등주간 행사나 캠페인을 통해 지속적인 국민 인식 제고를 위한 노력 을 기울이고 있고, 국민 체감도 높은 양성평등 정책과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있습니다.

 

양성평등주간을 통해 확신시키는 양성평등의 가치, 우리 함께 참여해보면 어떨까요?

 

GENDER EQUALITY. 출처: B tv 중부뉴스. (2024년 07월 22일). 신문 통아보기(7.22)[영상]. 김경희. (2024년07월22일). 양성 평등 영화 선정하는 '벡델데이 2024'9월 7일(토) 인디스페이스에서. iMBC. 이현. (2024년07월22일), 충주예총 '양성평등문화제 미술·공예 공모전'. 충청일보. 서충섭. (2024년07월09일). 광주시교육청, 양성평등콘텐츠 숏폼·웹툰 공모… 8월 19일까지. 뉴스1. 한철희. (2024년07월02일). 경기도여성단체협의회 안성시지회, 양성평등주간을 맞아 다채로운 행사 개최. 매일 일보. 정선아. (2024년06월12일). 인천 대표 성평등 축제의 장 '인천여성영화제', 오는 9월 개최. 경인일보. 고창일. (2022년09월05일). 2022년 양성평등주간기념 제주여성가족정책포럼. 이슈제주. 이도식. (2022년08월31일), 부산여성가족개발원, 양성평등주간 기념 토론회 개최. 메트로.

X
다운로드 하기 전!
*본 교육 콘텐츠의 실제 활용 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입니다.
1. 직업
2. 콘텐츠 사용목적
※ 콘텐츠 활용 전 확인해주세요.
  • ‘젠더온 활용가이드[바로가기]’를 확인하시고 협조 바랍니다.
  • 젠더온 콘텐츠는 게재 3년 후 시행하는 품질관리 결과, 내용의 시의성과 사회적 공감도 등에 따라 비공개 처리될 수 있으니 활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기관·단체에서의 활용은 정확한 안내와 현황 파악을 위해 아래 내용을 포함하여 메일을 통한 사전 협의 부탁드립니다. ①기관·단체명, ②활용 기간, ③활용 장소, ④게시 콘텐츠, ⑤활용 방안, ⑥담당자명, ⑦담당자 연락처
  • 기타 콘텐츠 활용에 대한 특이사항은 genderon@kigepe.or.kr로 문의 바랍니다.
다운로드 닫기

▶️ 콘텐츠에 대한 의견은 genderon@kigepe.or.kr 로 보내주시면 콘텐츠 제작 및 활용 시에 참고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