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폭력추방주간 기념 소개 영상] 폭력 없는 사회를 위한 '여성폭력추방주간' (11/25~12/1)
등록일
2022-10-25
대상
주제
유형
조회수
32897
첨부파일

공공누리 공공 저작물 자유이용허락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영상은 배리어프리 정책의 일환으로 스크립트가 제공됩니다.

(나레이션) 우리나라는 이처럼 여성에 대한 폭력을 사회적 문제로 인식하고,

우리 사회의 모든 구성원이 폭력으로부터 안전한 폭력 없는 사회를 이루고자

매년 1125일부터 121까지를 '여성폭력추방주간'으로 제정했습니다.


이는 매년 1125일에 열리는 '세계 여성폭력 추방의 날'과 뜻을 함께 하는데요.

세계 여성폭력 추방의 날은 도미니카 공화국의 독재에 항거하다 사망한 세 자매를 추모하고

전 세계에서 일어나는 여성폭력을 예방하고자 1999년 유엔총회에서 제정되었습니다.

기존에는 성폭력 추방주간과 가정폭력 추방주간으로 나누어 운영했으나

2019년 시행된 여성폭력방지기본법에 의해 여성폭력추방주간으로 통합 운영하게 되었습니다.


여성폭력방지기본법은 기존의 성폭력과 가정폭력뿐만 아니라 데이트 폭력과 스토킹, 디지털 성범죄 방지를 포함하고

수사나 재판 과정에서 피해자에게 생길 수 있는 2차 피해로부터 보호받을 권리를 구체적으로 명시하는 법입니다.


여성폭력 방지기본법 제1장 제3조에 명시한 2차 피해란,

가. 수사, 재판, 보호, 진료, 언론, 보도 등 여성폭력 사건 처리 및 회복의 전 과정에서 있는 정신적, 신체적, 경제적 피해

나. 집단따돌림, 폭행 또는 폭언, 그 밖의 정신적, 신체적 손상을 가져오는 행위로 인한 피해 등을 말합니다.


무엇보다 여성폭력추방주간의 의미는 디지털 성범죄, 아동청소년 대상 성범죄 등

시급하게 직면한 사회적 폭력에 대해 정부와 시민 사회가 함께 노력을 기울이는 것에 있습니다.

이는 여성에 대한 폭력을 개인 간의 갈등이 아닌 성차별적 구조 속에서 발생하는 사회 문제로 보고

피해자 보호를 국가의 책임으로 규정한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다가오는 1125일부터 121일 여성폭력추방주간의 의미를 기억하며

모두가 폭력으로부터 안전하게 살 수 있는 사회를 위해 우리가 함께 할 수 있는 일에 대해 고민해 보는 것은 어떨까요?

매년 1125일부터 121일까지는 여성폭력추방주간입니다

여성에 대한 폭력을 사회적 문제로 인식하고 폭력 없는 사회를 이루고자 2019년부터 시행되었는데요

여성폭력추방주간의 의미를 기억하며 우리 모두가 폭력으로부터 안전하게 살 수 있는 사회를 위해 함께 할 수 있는 일에 대해 고민해보겠습니다.

 

이 콘텐츠의 주요 장면

여성폭력추방주간 소개 00:15

세계여성폭력 추방의 날 00:37

2019년부터 시행된 여성폭력방지기본법 01:07

여성폭력방지기본법에서 명시한 2차 피해 01:25

 

여성폭력추방주간의 의미 01:52 

 

 

X
다운로드 하기 전!
*본 교육 콘텐츠의 실제 활용 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입니다.
1. 직업
2. 콘텐츠 사용목적
※ 콘텐츠 활용 전 확인해주세요.
  • ‘젠더온 활용가이드[바로가기]’를 확인하시고 협조 바랍니다.
  • 젠더온 콘텐츠는 게재 3년 후 시행하는 품질관리 결과, 내용의 시의성과 사회적 공감도 등에 따라 비공개 처리될 수 있으니 활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기관·단체에서의 활용은 정확한 안내와 현황 파악을 위해 아래 내용을 포함하여 메일을 통한 사전 협의 부탁드립니다. ①기관·단체명, ②활용 기간, ③활용 장소, ④게시 콘텐츠, ⑤활용 방안, ⑥담당자명, ⑦담당자 연락처
  • 기타 콘텐츠 활용에 대한 특이사항은 genderon@kigepe.or.kr로 문의 바랍니다.
다운로드 닫기

▶️ 콘텐츠에 대한 의견은 genderon@kigepe.or.kr 로 보내주시면 콘텐츠 제작 및 활용 시에 참고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