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별 고정관념 파헤치기
등록일
2024-11-14
대상
주제
유형
조회수
50629
첨부파일

공공누리 공공 저작물 자유이용허락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영상은 배리어프리 정책의 일환으로 스크립트가 제공됩니다.

안녕, 크리스.


안녕, 잭.


이번 여름도 캠프에서 보낼 준비 됐어? 나는 완전 기대 중이야. 올해는 올림픽 선수 제이슨 로저스가 펜싱을 가르칠 거래.


맞아, 최고야, 나도 들었어.


여러분, 펜싱 캠프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오늘 아침 활동으로는 펜싱의 예술에 관해 배워볼 거예요. 펜싱은 전략과 기술의 운동입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은 펜싱이 다른 사람과 좋은 팀원이 되는 연습을 할 기회를 준다는 점이에요.


좋아, 잭, 네가 질 거야. 내가 원래 너보다 힘이 세잖아.


이런, 너무 싫어. 나 완전 겁쟁이 같아.


얘들아, 경쟁이라는 걸 완전히 다른 시각으로 볼 수도 있어. 이건 터프 가이가 돼서 상대를 때리라는 게 아니야. 경쟁을 통해 배우고 연습해서 각자 자기 최고의 모습에 도달하는 거야. 잭, 넌 겁쟁이가 아니야. 넌 노력하고 있고, 매일 실력을 키워가고 있잖아. 크리스, 네가 팀원들을 아끼고 지지한다는 걸 보여주는 게 네 팀과 너의 자존감에 훨씬 더 좋아. 그럼, 우리 다시 해볼까?


네, 좋아요.


함부로 해서 미안해, 잭. 안 좋은 행동이었어.


아, 크리스, 너 기억해? 작년에 우리 캠프파이어 귀신 이야기할 때 너 엄청나게 무서워했잖아. 너 거의 바지에 오줌 쌀 뻔했는데. 진짜 웃겼어.


뭐라는 거야, 나 안 그랬거든.


아니, 얘들아. 무서운 건 부끄러운 일이 아니라, 인간이 가진 건강한 감정이야. 그리고 남자아이가 그런 감정을 갖는 것도 지극히 정상이라고 느껴야 해. 자, 그러면 이제 누가 귀신 이야기해 볼래?


야, 잭, 너 울어? 그거 그냥 집에서 온 택배잖아. 향수병에 걸린 거야? 남자답게 행동해, 잭! 


나 좀 내버려둬, 크리스. 나 안 울어. 


얘들아. 슬프거나 화날 때 우는 건 자연스러운 행동이야. 사회가 남자아이들에게 ‘강해져라’, ‘남자답게 굴어라’라고 말하는 건 적절하지 않은 성역할에 대한 고정관념을 조장하는 거야. 그리고 그건 정말 좋지 않아. 모든 인간은 다양한 감정과 정서를 가지고 있어. 스스로 자신의 성역할을 어떻게 정의하든 상관없이, 사람이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건 건강하고 자연스러운 거야. 이해가 좀 될까? 자, 그럼, 잭, 집에서 보내주신 쌀과자 하나만 우리도 좀 나눠줄래?


크리스, 무슨 일이야? 저기 카누 타는 사람 앰버야?


아, 나 너무 창피해. 앰버가 나한테 와서 숲에 데이트하러 갈지 물어보더라고. 그런데 내가 너무 긴장한 나머지 완전히 얼어버린 거야. 무엇을 해야 할지도 모르겠더라고. 나도 앰버를 좋아하는 것 같지만, 스킨십할 준비가 된 건지는 잘 모르겠어. 이 일은 절대 되돌릴 수 없을 것 같아. 앰버도 다시는 나를 안 보겠지. 


크리스, 내가 전에 부정적인 성역할 고정관념에 관해 이야기한 거 기억하니? 이것도 똑같은 거야. 성적인 측면에서 특정한 방식으로 행동해야 한다는 압박을 받을 필요는 없어. 이런 것들을 알아가는 데에는 시간과 인내가 필요하고, 너를 아끼는 사람들은 그걸 이해할 거야. 남자아이들은 자신의 성에 관해 알아갈 시간과 공간이 필요하다는 걸 이해해야 하고, 또래 친구들이나 사회에 의해 압박을 느끼지 않아야 해.


고마워요, 제이슨. 기분이 조금 나아졌어요.


자, 캠프 참가자 여러분, 마지막 날이에요. 이번 여름에 우리가 이야기한 것들 잊지 마세요. 그리고 자신의 최고의 모습에 도달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세요. 부정적인 성역할 고정관념의 압박을 이겨내고, 멋진 새 학기를 맞이하기를 바랍니다.


고마워요, 제이슨.

내년 여름에 봐요.


그리고, 잭, 집에 도착하면 나한테 전화해 줄래?


좋아, 크리스. 어쩌면 우리 다른 아이들도 이런 고정관념에 맞설 수 있도록 학교 동아리를 만들어 봐도 괜찮을 것 같아.

모든 인간은 다양한 감정과 정서를 가지고 있습니다.

 

자신을 제대로 알기 위해 다양한 고정관념에서 벗어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위 영상은 미국 비영리 교육 단체 Amaze가 만들고,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에서 한국어 버전을 제작했습니다.

X
다운로드 하기 전!
*본 교육 콘텐츠의 실제 활용 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입니다.
1. 직업
2. 콘텐츠 사용목적
※ 콘텐츠 활용 전 확인해주세요.
  • ‘젠더온 활용가이드[바로가기]’를 확인하시고 협조 바랍니다.
  • 젠더온 콘텐츠는 게재 3년 후 시행하는 품질관리 결과, 내용의 시의성과 사회적 공감도 등에 따라 비공개 처리될 수 있으니 활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기관·단체에서의 활용은 정확한 안내와 현황 파악을 위해 아래 내용을 포함하여 메일을 통한 사전 협의 부탁드립니다. ①기관·단체명, ②활용 기간, ③활용 장소, ④게시 콘텐츠, ⑤활용 방안, ⑥담당자명, ⑦담당자 연락처
  • 기타 콘텐츠 활용에 대한 특이사항은 genderon@kigepe.or.kr로 문의 바랍니다.
다운로드 닫기

▶️ 콘텐츠에 대한 의견은 genderon@kigepe.or.kr 로 보내주시면 콘텐츠 제작 및 활용 시에 참고 하겠습니다.